시간복잡도에 따른 풀이
![[TIP] 시간복잡도에 따른 풀이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lBn1K%2FbtrLEGBVIfO%2FAAAAAAAAAAAAAAAAAAAAABE_1urqRM3tJsAGMqxq-DoAE2ri-eWEVsswfPj0FXLF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39739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9k6yJ%252F67G%252FpvYhuolhjQMYE5NvE%253D)
[TIP] 시간복잡도에 따른 풀이
파이썬은 1초에 대략 2000만번의 연산이 가능하다고 전제 N의 범위가 큰 문제를 발견했을 때 O(logN)을 생각해야된다는걸 알게됐다 => ex) 이분탐색 방법 최소값의 최대값 구하는 문제는 이분탐색을 사용한다 시간제한이 1초인 문제를 만났을경우(대부분) N의 범위가 500이하인경우 O(N^3)으로도 충분히 해결가능하고, 2000이하인 경우, O(N^2)인 알고리즘으로 해결 가능하며 N의 범위가 100,000이하인 경우 O(NlogN)알고리즘으로 해결 가능하고 10,000,000인 경우 O(N)알고리즘으로 해결이 가능하다.